-
사망신고전 예금인출카테고리 없음 2019. 9. 30. 22:59
사망신고전 예금인출에 관한 이야기를 찾던 중 괜찮은 내용들이 있어 킵 해보았다.
고소득 개인사업자 소득 절세, 100원 벌면 70원이 세금?
은행 예금이 늘수록 금융소득종합과세 라는 또다른 문제에 부딪힐 수 있다. 어쨌든 우리나라에서 한가지 자산 형태만을 가지고 운용하는데는 많은 부담이 따르는 것은 틀림 없는 사실이다. 여기서 소득이 높은 개인사업자, 자영업자 분들이 고민하는 것 중에 하나가 그렇게 부동산을 수익 남기고 팔았을때, 은행에 목돈... http://kwon880.tistory.com/126
사망신고후해야할일
보험사의 사망보험금 청구 10. 재산상속에 따른 세금 납부 1) 취득세 신고납부(사망일로부터 6개월 내) 2) 등록세 신고납부(농지 3/100, 기타 8/1000) 3) 상속세 신고납부(사망일로부터 6개월 내) : 피상속인 관할 세무서 ① 상속세 신고시 필요한 법정서식 - 상속세과세표준신고 및 자진납부계산서 - 상속재산명세서 및...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iltax59&logNo=40194718310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법
계좌의 예금이 위험하다고 현금 인출하여 집에 보관토록 한 뒤 훔쳐감. 속지 않기 위한 TIP 1. 여러 이유로 현금을 찾아 집안에 보관하라고 하면 100% 사기 2...명심! 유형 4. 납치빙자형 보이스피싱 이 유형은 우리 어머니께서도 얼마 전에 직접 당하신 유형입니다. ^^ 제가 납치되고 울면서 엄마~~엄마 하고 돈을...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ung8498&logNo=221515759034
[상증세법]피상속인이 만든 청구인의 통장의 예금
2016.11.14. 사망한 OOO(1927년생, 이하 “피상속인”이라 한다)의 장남과 며느리로, 과세표준을 OOO원으로 하여 2017.5.30. 상속세 OOO원을 신고ㆍ납부하였다. 나. OOO지방국세청장(이하 “조사청”이라 한다)은 2017.10.31.˜2018.1.30. 기간 동안 피상속인에 대한 상속세 조사를 실시한 결과, 피상속인이 청구인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areuntax76&logNo=221578152320
연말정산 대비 환급세액을 높이기 위한 금융상품 투자 세테크 - 정경욱의 세테크 컨설팅 사례
종합 신고한 경우에는 소장펀드에 가입할 수 없습니다. 소장펀드 세제혜택 소장펀드는 국내 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식에 자산총액의 40% 이상을 투자하는 펀드...최대 240만원)을 소득공제 받을 수 있죠. 소득공제는 세액을 산정하기 전에 차감되기 때문에, 해당 적용세율만큼 환급효과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총 급여액이... http://daishinblog.tistory.com/2335
[상속포기/한정승인] 한정승인신청전에 피상속인의 예금을 인출하면 한정승인을 할 수 없나요?
할 것입니다. 따라서 피상속인의 예금을 인출하였지만 상속한정승인신고를 할 때 상속재산목록에 이를 누락하지 말고 기재하고, 청산절차에서 상속비용 등으로...포기를 하기 위해서는 피상속인의 재산과 채무를 면밀히 검토하고, 상속재산 등을 처분하기 전에 신고를 먼저 해야 합니다. 특히 사망보험금의 경우 수익자...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rzen&logNo=220544531495
상속세 소유재산범위=상속재산+추정재산+간주재산~
사망한 이후, 상속세 신고를 위해 상속재산을 정리하던 중 아버지가 사망하기 6개월 전에 3억 원짜리 아파트 1채를 처분하고, 은행예금에서 1억 원을 인출하신...어떻게 사용하셨는지 알 수가 없는데 상속세 신고를 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금 인출한 1억 원은 사망하기 전 1년 이내 2억 원 미만에 해당하므로... http://blog.daum.net/01025258999/475
재산상속변호사 전략적 접근을 통해!
사망신고 시 또는 사망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에 전국 시, 구 , 읍, 면, 동 주민센터에서 피상속인의 재-산을 한번에 조회신청 할 수가 있지요...10년 이전에 증여한 주식과 채궈 ▶ 형제 일부에게 사망 1년전 증여한 현금 ▶ 피상속인이 사망 1년 이내 부단한 채무 등에 대해서는 폭넓은 관점에서의 접근이...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cboy777&logNo=221428972508
한정승인,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니 조심하세요!
아버지 사망으로 그 상속인이 되었습니다. 상속재산은 은행예금 1천만 원 뿐이었습니다. 그런데 아버지의 채권자들이 A녀에게 아버지 채무의 상환을 독촉...그런데 A녀는 장례비용 100만원과 병원비 500만원을 아버지의 예금에서 인출하여 지급하였습니다. ■ 민법 제1026조 상속인이 ① 상속재산의 처분행위를 한 때... http://lawyersih.tistory.com/3
상속세 절세 상속등기 필요서류 안내
상속세 신고 시 필요서류가 참 많죠? 필요한 서류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방문 전에 전화 문의 꼭 한 번 더 해보시는 것도 잊지 마세요. 상속세에는 간주상속재산과 추정상속재산이 있어요. 간주상속재산이란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인하여 상속인이 받는 보험금, 신탁재산, 퇴직금 등을 말해요. 이 재산들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ovehouse4949&logNo=221462086226
혼외자의 인지청구 상속회복권 행사하기
혼인신고를 할 줄 알았던 B는 A를 낳은 이후에야 C에게 부인 D가 있는데다 자식(E, F, G)이 셋이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A의 아버지 C가 두 집 살림을 시작한 이후 B가 D로부터 당한 수모와 핍박은 이루 말할 수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B는 A가 생후 6개월이 되었을 무렵에 A를 데리고 C의 곁을 떠났고, 이후...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uke1475&logNo=221660260424
한진그룹 상속세 부담, 미리 준비하는 절세 전략
이후에 사망한다면 당초 증여한 재산은 당시에 증여세를 낸 것으로 끝나고 상속재산에 합산되지 않습니다. 증여세 역시 증여일로부터 소급해서 10년 내에 동일인...빨리 증여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미성년 자녀에게 세무사 없이 직접 증여신고 하기 증여, 일부 자산가들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 현명한 부모는 일찍부터...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ow2invest&logNo=221521263668
상속세는 피상속인이 사망 당시 가지고 있는 재산만 신고를 하면 된다 (동탄2신도시 경남아너스빌 아파트)
사망한 이후, 상속세 신고를 위해 상속재산을 정리하던 중 아버지가 사망하기 6개월 전에 3억 짜리 아파트 1채를 처분하고, 은행 예금에서 1억 원을 인출하신...사용하셨는지 알 수가 없는데 상속세 신고를 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 예금인출한 1억 원은 사망하기 전 1년 이내 2억 원 미만에 해당하므로 사용처 소명...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omo33k&logNo=221311783495
상속에 필요한 서류, 이것 모르면 손해 봅니다
상속예금지급청구서를 별도로 작성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이 청구서마다 공동상속인 전원이 인감도장을 찍고 인감증명서를 첨부해야 인출이 가능합니다. 피상속인의 상속재산에 차량이 포함된 경우, 별도로 자동차 포기각서를 써야 합니다. 이 각서는 구청 등의 관공서에 비치되어 있으며, 공동상속인 전원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jvictory&logNo=221661285334
사망하기 1~2년 전에 처분한 재산에상속세 부과여부
사망하기 1~2년 전에 재산을 처분하거나 예금을 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처에 대한 증빙을 철저히 갖추어 놓아야 합니다. ◉예 사업가로서 50억대 재산을 소유하고...후에 홍길동 씨는 사망하였으며, 자녀들은 상속받은재산에 대해서만 상속세를 신고하였다. 그런데 얼마 후 지방국세청에서 상속세 조사를 나와 상가건물...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jt7773&logNo=220634328246
법률적으로 조심해야 될 부분들이 은근히 많은것 같다는 느낌도 들면서 항상 무엇이든 주위에 묻고 해야할 것 같다.